본문 바로가기
우주관련 세계이슈

“소행성 아포피스, 2029년 지구를 스쳐 지나간다 – 충돌 위험은 없을까?”

by Lakstar 2025. 4. 3.

2029년 4월 13일, 소행성 아포피스(Apophis)가 지구에 31,000km 거리까지 접근합니다. 이 거리는 인공위성이 운용되는 정지궤도보다 더 가까운 수준입니다. 우주가 이렇게 가까이 다가오는 날은 흔치 않습니다. 그래서 이 소행성은 전 세계 천문학계와 우주팬들 사이에서 지금부터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1. 아포피스란 어떤 소행성인가?

아포피스는 지름 약 340m의 거대한 암석형 소행성으로, 2004년 처음 발견됐을 당시 NASA는 이 소행성이 2029년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이 2.7%나 된다고 발표해 큰 충격을 줬습니다.

당시엔 영화 “아마겟돈”이나 “딥 임팩트”의 현실판이 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도 있었죠. 하지만 이후 관측과 궤도 계산이 정밀해지며, 2029년에는 지구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 거리입니다. 지구에서 불과 31,000km. 이는 우리가 쓰는 통신 위성들보다도 더 가까운 거리이며,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 대형 소행성’ 중 하나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2. 아포피스 접근이 특별한 이유

이 정도 크기의 소행성이 이렇게 가까이 접근하는 일은 수천 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입니다. 이 때문에 아포피스는 ‘자연 실험실’처럼 활용될 기회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 접근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것을 관측하려 합니다:

  • 중력 효과: 지구의 중력에 의해 아포피스의 궤도나 회전에 변화가 생기는지
  • 표면 물질: 근접 통과 중 표면이 흔들리거나, 물질이 탈착되는지
  • 미래 충돌 예측: 궤도 변화가 미래 수십 년 후 충돌 위험에 영향을 주는지

_

3. 충돌 위험은 정말 없을까?

현재까지의 계산으로는 **2029년 충돌 가능성은 0%에 수렴**합니다. 그럼에도 일부 과학자들은 “지나치게 안심해선 안 된다”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지구 중력에 의한 궤도 변화는 아포피스의 향후 경로에 작지만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068년에는 아포피스가 다시 지구 근처를 통과하는데, 그때의 궤도는 2029년 근접 시 어떤 물리적 변화가 있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내가 이 이야기를 처음 접했을 때

개인적으로 아포피스라는 이름을 처음 들은 건 2010년쯤, 한 과학 잡지의 짧은 기사였습니다. “지구 충돌 확률 2.7%”라는 헤드라인에 소름이 끼쳤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그 날짜가 **2029년 4월 13일, 금요일**이었죠. 누가 일부러 만든 시나리오처럼 느껴졌어요. 그 이후 관련 다큐멘터리, 시뮬레이션, NASA 보고서를 보며 이 소행성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이젠 그날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입니다.

5. 이건 단순한 스릴이 아니라 과학이다

아포피스의 접근은 단순한 공포 자극용 뉴스거리가 아닙니다. 이건 과학이 **실제 위협을 어떻게 계산하고 대응하는지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우리가 이 소행성을 무사히 ‘관측’할 수 있다면, 미래에 더 위협적인 소행성이 나타났을 때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지 미리 연습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 함께 읽어보세요

소행성 아포피스는 2029년, 우리 눈앞을 지나갑니다. 그건 단지 하나의 우주 이벤트가 아니라, 과학의 눈으로 미래 위험을 대비하고, 우주의 위협을 이해하는 리허설일지도 모릅니다.

하늘을 올려다볼 때, 그 너머엔 언제나 예상치 못한 ‘방문자’가 있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과학은 그들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 그 사실이 저는 꽤 멋지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