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철학 & 인문6 죽음 이후,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 우주로 돌아간다는 상상 죽음 이후,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 우주로 돌아간다는 상상사람은 죽으면 어디로 갈까? 이 질문은 아마도 인류가 별을 보기 훨씬 전부터 마음속에 품어온 것이 아닐까. 살아 있는 동안은 바쁘고 시끄럽게 살아가지만, 문득 그런 순간이 있다. 누군가를 잃었을 때, 또는 밤하늘을 올려다볼 때. 그제서야 우리는 삶의 끝을 생각하게 된다.누군가는 “사람은 죽으면 흙으로 돌아간다”고 말한다. 또 어떤 사람은 “별이 된다”고 말한다. 사실 과학적으로는 둘 다 맞는 말일지도 모른다.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원소 대부분은 별의 내부에서 만들어진 것이고, 우리는 말 그대로 ‘별의 먼지(stardust)’로 이루어져 있다. 죽음은 어쩌면 다시 우주의 일부로 흩어지는 과정일지도 모른다.1. 별이 된다는 말, 과학일까 상상일까‘사.. 2025. 4. 1. 내가 우주를 좋아하게 된 이유 어린 시절, 나는 유난히 밤을 무서워했다. 친구들과 귀신 이야기라도 하고 나면, 집에 가는 골목길이 그렇게 멀고 어둡게 느껴질 수가 없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그 어둠 속에서 반짝이는 별빛은 무서움과는 다른 감정을 줬다.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 끌림. 무섭지만 자꾸만 보게 되는 그 묘한 감정. 지금 생각해보면, 아마 그게 내가 처음으로 우주를 좋아하게 된 순간이었을지도 모른다.중학교 1학년, 과학 선생님이 수업 시간에 보여준 다큐멘터리 한 편이 있었다. 제목은 기억나지 않지만, 지구 밖에서 바라본 푸른 행성의 모습과, 토성의 고리 사이를 지나던 탐사선의 영상은 아직도 내 머릿속에 선명하게 남아 있다. 그날 나는 처음으로 집에 돌아가 인터넷으로 ‘우주 다큐’를 검색했고, 그 길로 유튜브 알고리즘은 나를 .. 2025. 4. 1. 우주는 왜 인간에게 경외감을 주는가?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울컥해본 적이 있나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벅차오름, 마음 깊은 곳에서 울리는 어떤 감정. 우리는 그것을 흔히 ‘경외감’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왜 하필 ‘우주’를 볼 때 그런 감정을 느끼는 걸까요?그저 어두운 배경에 빛나는 점들이 흩뿌려진 모습일 뿐인데, 사람들은 왜 수천 년 동안 하늘을 바라보며 철학하고, 노래하고, 기도했을까요? 이 질문은 단순한 감정 분석을 넘어,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로 이어집니다.1. 경외감이란 무엇인가?경외감은 영어로 awe라고 표현되며, ‘압도적인 존재나 개념 앞에서 느끼는 감정’으로 정의됩니다. 이는 단순히 감탄하거나 놀라는 것을 넘어, 존재의 크기 차이를 실감할 때 생기는 복합적 감정이죠.심리학자 대처 켈트너(Dacher Keltner)는 연구를 통.. 2025. 4. 1. ‘우주 철학 & 존재의 의미’ 시리즈 목차 글 우주 철학 & 존재의 의미 – 감성과 사유로 떠나는 5편의 여정밤하늘을 바라볼 때 문득 떠오르는 생각들. “우리는 왜 존재하는가?” “외계 생명체는 있을까?” “죽음 이후의 나는 어디에 있을까?”이 시리즈는 그런 질문들에서 시작했습니다. 과학, 철학, 감정, 기억이 어우러진 나만의 ‘우주 사색’ 5편을 아래에 정리합니다.🌌 시리즈 목차 우주에 혼자인가? – 인류가 수천 년 품어온 질문 외계 문명과 조우한다면 – 인류는 어떤 선택을 할까? 우주는 왜 인간에게 경외감을 주는가 – 감정과 과학 사이 내가 우주를 좋아하게 된 이유 – 별빛 속에서 찾은 나 죽음 이후,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 우주로 돌아간다는 상상이 시리즈가 당신에게도 밤하늘을 조금 더 깊게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 2025. 4. 1. 외계 문명과 조우한다면 인류는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우리는 혼자인가?”라는 질문이 인류의 본질적인 궁금증이라면, 그 연장선에는 또 다른 상상이 이어집니다. “만약 외계 문명과 마주친다면, 우리는 어떻게 행동할까?” 이 가상의 시나리오는 단순한 공상이 아니라, 과학자, 철학자, 군사 전략가까지 모두가 고민하는 실질적인 주제가 되고 있습니다.1. 외계 문명과의 조우, 진짜 가능할까?과거에는 영화 속 상상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은 외계 행성의 대기를 분석하며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평가하고 있고, SETI(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 프로젝트)는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해 매일 수많은 전파 신호를 분석하고 있습니다.물리학자 미치오 카쿠는 향후 100년 안에 외계 문명과의 접촉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말하기도.. 2025. 4. 1. “우주에 혼자인가?”는 왜 인류의 근본 질문인가 밤하늘의 별을 올려다본 적이 있다면, 누구나 한 번쯤 이렇게 생각해봤을 겁니다. “과연 저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까?” 그리고 그 생각은 자연스럽게 더 깊은 질문으로 이어지죠. “우주에 우리만 존재하는 걸까?”이 질문은 단순히 과학적인 호기심 그 이상입니다. 이는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이며, 우리가 누구인지, 왜 존재하는지를 탐색하는 여정의 시작점이기도 합니다.1. 인류는 언제부터 ‘혼자인가’를 묻기 시작했나?고대 문명부터 현대 과학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항상 우주 속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고민해왔습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데모크리토스는 수천 년 전 이미 “무한한 우주 속에 지구 같은 세계가 무수히 존재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오늘날 우리가 외계 행성 탐사를 통해 확인하려는 개념과 일맥상.. 2025. 4.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