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주 정책 & 외교3

다이슨 스피어는 진짜 가능할까? – 에너지 수확의 궁극적 형태 지금 이 순간에도 인류는 에너지를 더 많이, 더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 수많은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풍력, 핵융합까지 다양한 시도가 있지만, 이 모든 것을 압도하는 궁극의 에너지 수확 방식이 있습니다. 바로 ‘다이슨 스피어(Dyson Sphere)’입니다.태양 전체를 둘러싸고 그 에너지를 전부 흡수한다는 이 구상은 듣기만 해도 SF 같지만, 과학적 상상력의 영역에서 매우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습니다.1. 다이슨 스피어란 무엇인가?1960년대 영국의 물리학자 프리먼 다이슨(Freeman Dyson)이 “고도로 발달한 문명은 결국 자신이 속한 항성의 모든 에너지를 사용할 것이다”라는 전제 아래 제안한 개념입니다.그는 거대한 껍질 형태가 아닌, 수많은 위성과 집열체들이 항성 궤도를 따라 떠 있는 ‘.. 2025. 4. 2.
핵융합 추진 우주선: 먼 우주로 가는 현실적 방법 핵융합 추진 우주선: 먼 우주로 가는 현실적 방법인류는 오랫동안 별을 향해 눈을 돌려왔습니다. 하지만 그 꿈을 현실로 만드는 건 언제나 기술의 문제였습니다. 로켓은 빠르지만 연료가 제한적이고, 전기추진은 효율적이지만 느립니다. 그렇다면 답은 뭘까요? 많은 과학자들은 이렇게 말합니다.“핵융합이야말로 진짜 우주 항해의 열쇠다.”1. 핵융합 추진은 어떤 원리일까?핵융합은 태양이 빛을 내는 방식과 같습니다. 가벼운 원자핵(예: 수소)을 융합해 무거운 원자핵(예: 헬륨)을 만들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죠. 이 에너지를 우주선의 추진력으로 전환하면, 기존 연료 방식보다 수천 배 강력하고 지속 가능한 동력이 만들어집니다.기존 로켓이 ‘폭발력’을 이용한다면, 핵융합 추진은 ‘태양을 작게 품은 엔진’을 이용하는 셈입니.. 2025. 4. 2.
“광속의 1%로 비행하는 우주선, 얼마나 현실적인가?” 광속의 1%로 비행하는 우주선, 얼마나 현실적인가?SF 영화 속에서 우주선은 빛보다 빠르게 날아가고, 은하계를 순식간에 횡단합니다. 그러나 현실의 물리학에서 광속은 절대 넘을 수 없는 벽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질문해볼 수 있겠죠. “광속의 1% 속도로라도 날 수 있을까?” 놀랍게도, 이 질문은 이제 상상이 아닌 현실적인 연구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1. 광속의 1%는 얼마나 빠를까?광속은 초당 약 30만 km입니다. 그 1%는 초당 약 3,000km로, 이는 지구를 13초 만에 한 바퀴 도는 속도입니다. 말 그대로 ‘말도 안 되게 빠른 속도’지만, 상대적으로는 우주적으로 매우 느립니다. 예를 들어, 이 속도로 알파 센타우리(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계, 약 4.37광년 거리)에 도달하.. 2025. 4. 2.